한국에는 짜장라면 종류가 정말 많잖아요? 대만에도 짜장라면이 있습니다. 한국만큼 그 종류가 다양하지는 않지만 꽤 유명한 한 브랜드가 있습니다. 바로 웨이리 짜장라면인데요. 오늘은 이 웨이리 짜장라면 먹는 방법과 관련 중국어를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.
대만 웨이리 짜장라면 먹는 방법
우선 웨이리 維力 [Wéilì / 웨이리]는 식품회사명입니다. 웨이리의 維力炸醬麵系列 [Wéilì zhájiàngmiàn xìliè] 웨이리 짜장면 시리즈 중의 하나가 바로 오늘 소개할 웨이리 짜장 컵라면입니다.
위 사진처럼 웨이리 짜장라면 시리즈가 정말 다양합니다. 維力炸醬麵 [Wéilì zhá jiàng miàn / 웨이리 쟈 지앙 미엔] : 웨이리 짜장면, 維力炸醬湯麵 [Wéilì zhá jiàng tāngmiàn / 웨이리 쟈 지앙 탕 미엔] : 웨이리 짜장탕면(국물 있는 면), 維力麻醬麵 [Wéilì májiàng miàn / 웨이리 마 쟝 미엔] : 웨이리 마장면(들깨소스 비빔면), 維力素食炸醬麵 [Wéilì sùshí zhá jiàng miàn / 웨이리 쑤슬 쟈 장 미엔] : 웨이리 베지테리언 짜장면 등 종류가 꽤 다양합니다. 봉지라면과 컵라면 두 타입으로 나뉘어 있습니다.
컵라면을 기준으로 먹는 방법이 한국과 좀 다릅니다. 위 사진의 컵라면의 컵이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이 두 그릇(컵)의 용도가 다른데요. 우선 컵라면을 열어보면 두 종류의 스프가 들어 있습니다. 하나는 짜장스프, 다른 하나는 국물용 파우더 스프입니다.
본 그릇(컵)에 들어있는 건면에 뜨거운 물을 붓고 익을 때까지 3~4분 기다립니다. 그 후 그 뜨거운 물을 추가로 붙어있는 그릇(컵)에 옮겨 붓고 국물용 파우더 스프를 넣습니다. (기름진 게 싫다면 새 뜨거운 물을 넣습니다)
그 후 익은 면에 짜장스프를 넣고, 뜨거울 때 잘 비벼줍니다. 그러면 한 그릇은 대만식 짜장라면이 또 한 그릇에는 맑은 국물이 한 세트로 완성됩니다!
웨이리 짜장면 중국어 이해하기
웨이리 짜장라면에 쓰여있는 중국어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
중국어 | 한어병음 | 뜻 | 한국어 발음 |
炸醬麵 | Zhá jiàng miàn | 짜장면 | 쟈 지앙 미엔 |
碗 | Wǎn | 그릇 | 완 |
克 | Kè | 그램 | 크어 |
大份量 | Dà fènliàng | 큰 분량 | 따 펀량 |
乾麵 | Gānmiàn | 건면(비빔면) | 깐 미엔 |
附 | Fù | 포함하다 | 푸 |
湯 | Tāng | 국, 탕 | 탕 |
강조되어 표기되어 있는 乾麵附湯 一碗兩吃 [Gānmiàn fù tāng, yìwǎn liǎng chī] 뜻은 비빔면에 탕 포함됨. 한 그릇으로 두 가지를 즐길 수 있음(먹을 수 있음)이라는 뜻입니다.
한국 짜장라면에 비해 대만 짜장라면은 비교적 단맛이 덜하고, 된장에 가까운 짠맛이 좀 더 강합니다. 까르푸, px-mart 같은 슈퍼나 패밀리마트, 세븐일레븐 등 어느 편의점에 가도 쉽게 보이는 상품이니 기회 되면 한번 드셔보세요!
아! 기간에 따라 기간한정으로 매운 웨이리 짜장라면도 판매하니 매운맛 좋아하는 분들은 아래 포스팅 참고해 주세요!
[대만 신제품] 대만 짜장라면으로 유명한 '웨이리', 기간한정 출시 매운 짜장면 라면 리뷰
* 자료출처 : 직접촬영 및 웨이리 공식 홈페이지 (https://www.weilih.com.tw/index )
* 무단 복제 및 사용을 금지합니다.
저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♡공감♡ 한번 부탁드립니다.
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!
'Travel > Taiwa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만 타오위안 모나크 스카이라인 호텔에서 타이베이 가는 방법과 버스 어플 추천 (0) | 2023.02.09 |
---|---|
대만 조식 전문식당 早安美芝城 Good morning 조안미지성 메뉴 중국어 이해하기 (0) | 2023.02.07 |
대만 여행가서 한번쯤 먹어볼만한 철판구이(鐵板燒)식당과 중국어 메뉴 (0) | 2023.02.06 |
[대만 타오위안 여행]모나크 스카이라인 호텔 기준 갈만한 곳 모음(자전거공원, 코스트코, 주웨이항구) (0) | 2023.02.05 |
대만여행 가면 스타벅스 보다는 대만 카페 cama cafe! (커피 중국어메뉴 해석) (2) | 2023.02.04 |
댓글